그룹명/깔크막의 숲 이야기

숲에서 알아두면 이야기 거리가 될 수가 있는 것들(매미)

깔크막 2010. 12. 28. 12:50

 

 이영준 선생은 매미를 15종으로 명쾌하게 분류   

 

우리나라 매미의 연구는 1850년 영국인 워커가 4종을 신종으로 기록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일본학자들의 기록은 많으나  우리나라 학자에 의한 체계적인 매미의 기록이 없어 일본학자들의 연구기록을 바탕으로 분류하였다.

매미박사 이영준선생은 그의 저서 "우리매미 탐구"를 통하여 새롭게 매미의 분류학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였으며, 워커가 발표한 매미 중에서 애매미만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영준 박사는 "한국곤충명집"에 우리 매미를 24종이라고 정리한 내용을 곤충도감마다 인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은 종들이 포함되어 있어 연구결과 15종으로 분류했고 10년 전 논문에 "한국의 매미"로 발표했고 2005년 출간한  "우리 매미 탐구"를 통하여 매미 한 종 한 종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표본사진과 생태사진은 물론  분류표와 검색표와 우리나라 매미의 분류의 키가 되는 배딱지모양의 그림까지 삽입하여 충실하게 엮어냈다.(2005년 발행 이영준 저 "우리매미 탐구" 중에서 발췌함)

 

 

숫컷 매미의 울음소리(암컷은 안 움) 

 

1.말매미: 짜 르르르르르르 매미 중 가장 크고 우는 소리가 시끄럼다고 함. 

 

2.유지매미: 지글지글지글지글 기름매미라고도 함. 저녁에 주로 움. 숫자적음.

 

3.참매미: 매앰매앰매앰매매앰 또는 밈밈밈 미이임, 말매미와 함께 여름 잠을 설치게하는 주범 제일

            흔함.

 

4.쓰름매미: 쓰르람 쓰르람 또는 쓰쓰름 쓰쓰름, 듣기 좋음 낮잠자기 좋음.쓰르라미라고도 함.

               저녁매미와 다르게 구분하는 것이 맞음.

 

5.털매미: 찌이찌이 찌이익 보리매미라고도 함. 온 몸에 털 10월까지 움

 

6.애매미: 씨우 쥬쥬쥬쥬쥬쥬쥬 울고 금방 날아감, 잡기 힘듬, 크기가 제일 적음.

 

7.소요산 매미: 지-잉 트웽 지-잉 트웽 (이영준 저 "우리매미탐구" 참조) 

 

 

*** "떠어얼 떨 떠어얼 떨" 하고 우는 매미로 엄청나게 소리가 크고  보통 한 여름의 오전에 한번 정오에 한번 오후에 한번 저녁 무렵 우는 매미로 떨매미(?)의 울음에 맞추어 새참을 내었던 어린시절이 있었슴.(이 매미가 혹시 말매미인지요?.일반적인 매미보다는 빼어나게 크고 기품이 있었고 매우 민첩하고 빠르게 날고 접근하여 잡기가 매우 어려웠던 기억이 있는 매미임. 우리는 이렇게 우는 매미를 우리는 떨매미(?)라고 불렀는데 정확한 이름은 무엇인지요?.)***

 

매미를 통해서 배우는 철학

 

1. 머리에 반문(斑紋)이 있으니 학문()이 있고
2. 이슬만 먹고사니 맑음()이 있고
3. 사람이 가꿔놓은 곡식이나 채소를 훔쳐 먹지 않으니 염치()가있고
4. 다른 곤충과 달리 집을 짓지 않으니 검소()하고
5. 자기가 사는 계절을 지키며 떠나야 할 때를 알고 있으니 신의()가있다는 것이다
6. 일주일 정도를 살기 위해 땅속에서 인고의 세월을 보내므로 인()하다.

 

우리나라의 매미의 종류  (이영준 저 "우리매미탐구" 발췌함)

 

1. 위장술의 천재 전천후 솔리스트 '털매미'

2. 가을의 독창자 '늦털매미 '

3. 점잖은 산 멋쟁이 '참깽깽매미'

4. 나 한번 찾아봐 '깽깽매미'

5. 정열의 거인 군단 '말매미'

6. 기름에 절었나 '유지매미'

7. 우리 매미의 대표 '참매미'

8. 세기의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애매미'

9. 여름을 식혀주는 정통파 테너 '쓰름매미'

10. 여름의 전령 '소요산 매미'

11. 들릴락 말락 '세모배매미'

12. 북방의 은둔자 '두눈박이좀매미'

13. 매미인가 베짱이인가 '호좀매미'

14. 꼭꼭 숨어라 날개 끝이 보일라' 풀매미'

15. 꼬마 날쌘돌이 '고려풀매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