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첨찰산 (485m )

전라남도 서남단 남해바다에 자리하고 있는 진도는 천연기념물인 진도개를 비롯해서 특산물인 홍주와 구기자 그리고 이 섬의 관문인 진도대교 아래 명량대첩지 울돌목, 한국판 모세의 기적으로 불리는 신비의 바닷길, 운림산방, 진도아리랑 그리고 다도해권의 비경 등 볼거리가 무척 많아 휴일이면 많은 등산인들이 찾는 곳이다.
- 진도읍에서 남동쪽으로 왕무덤재를 넘어 7km거리에서 동으로 반경 2km 정도의 들판지대 위로 올려다 보이는 첨찰산은 정상에 봉화대가 있어서 일명봉화산이라고도 부른다.
옛날 봉화대가 있던 산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첨찰산도 정상에 서면 사방위를 휘둘러보는 조망이 남다르다. 조선시대 사명당이 이 산에서 도를 닦았다는 기록이 전해지기도 한다.
첨찰산은 등산로 주변에 인공보조물이 전무해서 태고적 자연미가 그대로 살아 있다. 게다가 산길이 천연기념물 제 107호로 지정된 상록수림 터널속으로 이어지고 있어 신선미가 넘친다. 상록수림은 동백, 후박, 참가시, 감탕, 종가시, 생달, 모새, 참식, 차, 자금우, 광나무, 붉가시나무, 메밀잣밤등 상록성 넓은 잎 나무들이 졸참, 자귀, 느릅, 말오줌때, 쥐똥, 실거리, 조록, 소사나무등 50여종에 달하는 낙엽성 넓은 잎 나무들이 섞여 쌍계사(雙溪寺) 주변에 약 12.231㎢ 넓이에 달하는 숲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수림 덕분에 사계절 산과일을 맛보며 산행을 즐길 수 있다. 봄에는 보리똥, 꼬지딸, 보리딸을 여름에는 먹딸, 수릿딸, 박딸(산딸), 신금열매가 있고 가을에는 넝쿨식물인 산능금, 으름, 잣밤, 윤노리, 산감, 돌배, 머루, 다래, 갈매나무 열매 등이 군침을 돌게 한다.
상록수림 속에 숨은 듯 자리한 쌍계사를 보지 않을 수 없다. 신라때 도선국사가 창건한 이 사찰은 사찰 양편으로 하천이 흐른다 하여 절 이름이 쌍계사로 지어졌다. 건립 연대는 숙종 23년 (1697년)으로 약 1m 높이의 자연석 기단에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원주를 세운 대웅전이 볼만하다. - 코스가이드
- 첨찰산 등산은 운림산방 앞 주차장을 기점으로 원점회귀하는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주차장에서 동쪽 운림산방 매표소 앞을 지나 약 400m 가량 올라가면 진도아리랑 기념비가 나타나는데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등산이 시작된다.
진도아리랑 기념비에서 동쪽으로 오르는 자동차길은 두목재를 넘어 고군면으로 넘어가는 길로 40분쯤 올라가면 두목재에 이른다. 여기서 북쪽으로 뻗은 능선을 타고 첨찰산에 오를 수도 있지만 이곳으로 오르는 이들은 보기 어렵다.
정상으로 향하는 길은 진도아리랑 기념비에서 북동쪽으로 패어든 서천암계곡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서천암계곡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서천암 계곡 안으로 발길을 옮겨 25분 가량 올라가면 왼쪽 아래로 20m 와폭이 보인다. 와폭을 지나 15분 거리인 서천암터 약수터를 지나 200m 더 오르면 헬기장을 이룬 주능선 안부에 닿는다.
주능선 안부에서 왼쪽으로 두 개의 돌로 쌓은 케언이 올려다 보이는데 여기가 정상이다. 안부에서 정상까지는 7~8분이 걸린다. 정상에서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북쪽으로는 금골산, 진도대교, 우수영이 멀리 신안 바다와 함께 보이고 동쪽으로는 해남군 방면 삼마도가 바다위에 떠 있다.
남으로는 첨찰산에서 이어져 나간 능선상의 덕신산(285m) 줄기가 넘실거리고 오른쪽으로는 삼막산, 여귀산 산릉이 멀리 지력산과 함께 어우려져 일렁이는 파도처럼 굼실대며 서쪽 아래로는 진도읍이 뚜렷하다.
하산길은 서쪽 쌍계사로 내려서는 길이 주로 이용되며, 정상에서 25분 정도면 쌍계사 계곡으로 내려선다. 쌍계사 계곡길은 상록수인 동백이 빽빽하게 숲을 이뤄 햇빛이 제대로 들지 않아 어둑어둑하다. 이 길을 따라 20분 거리에 이르면 오른쪽 계류 옆 바위지대에서 물이 콸콸 쏟아져 나오는 석간수 샘터를 만난다. 물맛이 매우 좋고 워낙 깨끗해서 물을 떠가는 이들이 많다.
샘터에서 목을 축이고 잰걸음으로 30분 가량 상록수림 터널을 빠져나오면 쌍계사에 다다른다. - 교통
- 일단 진도읍까지 가서 진도공용터미널(061-544-2141)에서 사천리 운림산방행 군내버스로 갈아탄다.
- 광주~진도간 버스 1일 31회 운행, 2시간 30분 소요
- 목포~우수영~진도간 1일 20회 운행, 1시간 소요 (진도군청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