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명산안내

화순천태산

깔크막 2007. 5. 13. 14:37
천태산
소재지 주소 전남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변천리, 도암면 천태리, 등광리 일대
설명
- 높 이 : 해발 497.2 m
- 별 칭 : 개천산, 천불산

◈ 역사적 배경

- 천태산 아래에 자리잡은 개천사는 통일신라시대 헌덕왕 말기에 도의선사가 장흥 보림사를 창건하고 이어 개천사를 건립하였다고 전하는 유서깊은 사찰로 비자나무 숲이 유명하다.
한때는 천불전으로 이름나 있어 산 이름이 천불산으로 불리운 적도 있었으며 정유재란으로 폐허가 되다시피 하였고 일제시대에는 한때 용화사로 불리기도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절집이 소실되었는데 당시 천불전의 천불상이 녹아 내리는 모습이 장관을 이루었다고 촌로들은 회고하고 있다. 1963년경에 대웅전과 요사채만이 중건되어 조용한 사찰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찰입구에는 불회사나 운흥사에 있는 돌벅수가 아닌 나무벅수 2구가 늙은 몸을 힘겹게 가누고 있다.

◈ 주변 관광지
- 개천사, 운주사, 쌍봉사, 불회사, 도곡온천, 장흥보림사, 송석정, 영벽정 등

◈ 특산품 : 비자열매, 표고버섯, 참외
찾아 오는 길
◈ 자가용 이용 시

⇒ 광주에서 국도 제22호선을 타고 화순읍까지 와서 국도 제29호선을 타고 능주 - 춘양까지 간 후에 춘양에서 지방도 제818호선을 따라가다가 변천리로 접어든 후 개천사까지 간다.

⇒ 광주에서 화순까지 와서 국도 제29호선을 타고 능주까지 간후 지방도 제 822호선으로 도곡 - 평리 삼거리까지 간 후 다시 지방도 제 817호로 접어들어 도암까지 간 후 운주사 넘어가는 고개 아랫마을(월전)에서 좌측길로 접어들어 등광리에 이른다. 지방도에서 보면 뾰족한 산이 천태산이다.
대중교통
* 화순 군내버스(218번, 춘양 변천리행) : 광주 광천터미널 - 화순-능주-춘양-변천리

* 화순 군내버스(218번, 도암 용강리행) : 광주 광천터미널 - 화순-능주-도곡-평리 삼거리-도암-(월전 앞 또느 등광리)-용강리 (배차간격 : 30분)

※ 도암-동광리 : 택시 이용
추가정보
◈ 등산코스

- 등광리 마을에서 쳐다보아 오른쪽이 천태산이다. 등광리 뒤쪽편 오른쪽의 감나무밭을 지나서 능선을 개천사쪽으로 잡고 등반하면 바위에 이른다. 바위에서 능선길을 따라 곧장가면 헬기장이 나오고 이곳을 지나면 정상부에 이른다.

동쪽으로 보이는 용암산과 서로 자웅을 겨루듯 정상부근은 바위무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동쪽에 있는 바위는 아름다움을 더해 준다. 헬기장과의 중간지점에서 등광리로 통하는 길이 훤히 트여있다.

또 하나의 길은 안성마을 저수지로부터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아기자기한 산행의 맛을 감상 할 수 있다. 코스는 거의 비슷하여 소요시간이 70분가량 걸린다.

◈ 하산코스

- 하산은 헬기장에서 10분거리인 갈림길에서 다시 40여분쯤 내려가면 개천사에 이른다. 이 일대는 도지정 기념물인 비자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비로소 계곡에서 물을 만날 수 있지만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천태산은 주능선의 북쪽(도암면)에서만 볼 수 있으며 남쪽(개천사)에서는 솟아오른 산봉우리와 개천사만을 감상할 수 있다. 식수는 마을이나 개천사에서 이용해야만 한다. 개천사에서 가동저수지를 지나 변천리 버스 정유장 까지는 25분 거리다.

'호남명산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 부용산  (0) 2010.03.15
화순화학산  (0) 2007.05.13
화순천운산  (0) 2007.05.13
화순용암산  (0) 2007.05.13
화순옹성산  (0) 2007.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