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명산안내

보성제암산

깔크막 2004. 9. 20. 15:54

제암산

 


봄에는 철쭉, 가을엔 억새가 장관으로 피는 제암산.

개요 

높이 : 807m
위치 : 전라남도 보성군·장흥군
특징 :호남정맥상의 봉으로, 매년 5월초 철쭉제를 열리는 남도의 철쭉 명산이다. 여름에는 초원, 가을에는 억새로도 장관을 이룬다. 임금 '帝' 자를 연상케 하는 정상부 암봉에 오르면 전남 일원의 산봉이 한눈에 들어올 정도로 조망이 뛰어나다. 남해바다도 빤히 바라보인다.

신기마을 기점코스

등산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걷기 수월한 길
안내판은 있으나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부실하고,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거의 없고, 길찾기가 까다로우며 험한 길
안내판이 없고, 길찾기가 매우 어려우며 위험한 길

특징 

제암산 정상을 가장 빨리 올라가는 코스. 초반부는 급경사를 이루고 있지만, 형제바위 능선에 올라선 이후로는 경사가 완만해진다. 죽음까지 함께한 형제간의 우의가 전하는 형제바위를 거쳐 여름에는 초원, 가을에는 억새로 절경을 이루는 능선을 타고 정상으로 이어진다.

산행 경로 

공설공동묘지 형제바위 정상
거리 : 편도 약 3.5㎞
소요시간 : 약 2시간


제암산쪽에서 바라본 사자산
산행 안내 

신기마을 부근의 공설공동묘지에서 북쪽 방향 산길 따라 서릉으로 접근 → 주능선에 이르기 전 형제바위가 나옴 → 형제바위를 지나 주릉에서 왼쪽(북쪽) 길을 따르면 정상 → 정상에 오르려면 바위구간을 거쳐야 함(노약자는 보조자일로 확보하는 것이 안전) → 정상에서 하산은 능선을 타고 형제바위 삼거리까지 내려와 공설공동묘지로 내려서도 되고, 곰재를 거쳐 신기 마을로 내려가도 됨.

등산로잇기 

곰재에서 곰재산~간재~신기마을 코스나, 곰재산~간재~사자산~미륵등 코스를 이을 수도 있다. 곰재에서 간재 40분 소요.
사자산 참조

자연휴양림 기점 원점회귀형 코스

등산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걷기 수월한 길
안내판은 있으나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부실하고,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거의 없고, 길찾기가 까다로우며 험한 길
안내판이 없고, 길찾기가 매우 어려우며 위험한 길

특징 

휴양림에서 완경사의 계곡길을 따라 곰재까지 오른 다음 주능선을 타고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 정상에서 북동릉을 따르다 첫 번째로 만나는 오른쪽(남동 방향) 지능선을 타고 내려서면 휴양림으로 떨어진다.

산행 경로 

휴양림 곰재 정상 동릉 휴양림
거리 : 편도 약 4.5㎞
소요시간 : 약 3시간

산행 안내 

휴양림내 임도 → 임도 최상단(등산로 안내판이 서 있음 → 계곡길 → 곰재(휴양림에서 약 30분 소요) → 곰재에서 오른쪽(왼쪽은 곰재산~사자산 방향) 가파른 능선길 → 형제봉 갈림지점 → 초원 능선 → 정상 아래 안부 → 바위길 →정상 → 정상 아래 안부로 내려섬 → 동릉 → 첫 번째 삼거리 → 오른쪽 지능선 → 약 20분 → 갈림지점(능선길은 관리사무소와 해룡마을 사이 도로로 이어짐) → 오른쪽 지능선 길 → 관리사무소 뒤.

감나무재 기점 종주코스

등산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걷기 수월한 길
안내판은 있으나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부실하고, 걷기 힘든 길
안내판이 거의 없고, 길찾기가 까다로우며 험한 길
안내판이 없고, 길찾기가 매우 어려우며 위험한 길

특징 

제암산 산행 코스 중 가장 긴 능선종주 코스. 멀리 임금 帝 자 형상으로 우뚝 솟은 정상

산행 경로 

감나무재 시루봉 정상
거리 : 편도 약 6㎞
소요시간 : 약 3시간

산행 안내 

장흥읍에서 2번 국도를 타고 보성 방향(동쪽)으로 가다 나오는 첫번째 고개가 감나무재 →고갯마루 초입에서 남쪽 산길(초입에 안내판 세워져 있음) →작은산(689m) 오름길과 불망비~시루봉 오름길(철쭉 군락지였으나 98년 가을 도벌꾼들에 많이 훼손되었음) →이후 정상까지 완경사 능선길 →휴양림 방향 등산로 갈림지점 → 정상 아래 안부 →바위길 →정상.

교통 

고속버스편
동서울터미널(02-446-8000, [www.ti21.co.kr])

서울 →광주종합터미널(062-360-8800∼14)
오전 5시40부터 오후 7시40분까지 2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고속버스 이용.
소요시간 : 약 3시간55분

시외버스편

광주종합터미널(062-360-8800∼14)

광주 →장흥 공용터미널(061-863-0636)
오전 5시부터 오후 10시5분까지 3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직행 또는 직통버스 이용.
소요시간 : 약 1시간40분.

장흥 공용터미널(061-863-0636)

장흥 →신기 마을
장흥 공용터미널에서 07:00부터 18:40까지 1일 6회 운행하는 신기행 군내버스 이용.
신기에서 장흥행 막차는 19:00.

제암산자연휴양림행

보성 공용터미널에서 06:30부터 19:30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웅치행 군내버스로 접근한 다음 웅치에서 택시로 접근. 터미널 전화 061-852-2777.

시목재행

장흥 공용터미널에서 06:20부터 21:00까지 15~20분 간격 운행하는 보성행 직행버스나 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장평 경유 광주행 직행버스 이용. 전화 061-863-9036.
광주 방면은 광주 종합터미널에서 05:00부터 21:30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화순, 장평 경유 장흥행 직통버스를 이용, 장동면 소재지인 배산 하차. 1시간30분 소요. 배산에서 시목재까지는 약 700m 거리. 터미널 전화 062-360-8800~14.
보성 방면은 보성 공용터미널에서 06:44부터 21:28까지 10분 간격 운행하는 장흥행 직행버스 이용, 배산에서 하차. 전화 061-852-2777.

열차편(www.korail.go.kr)

서울역(02-392-7788)

서울 →광주역(062-529-7744)
오전 6시5분부터 오후 11시25분까지 1일 12회 운행하는 열차 이용.
소요시간 : 새마을호 약 5시간, 무궁화호 약 5시간30분

숙박 

  • 유일온천장 061-862-7733
  • 탐진각 061-863-1310
    *피서철에는 안양수문해수욕장 부근의 민박집 이용. 문의 장흥군청 문화공보실 061-863-2509.
  • 명소 

    제암산자연휴양림
    전남 보성군 웅치면 대산리 제암산~사자산 동쪽 골짜기에 위치. 제암산, 곰재산, 사자산 산행기점으로 이용되는 휴양림이다. 20평형 산막, 9평형 산막 5동, 야영데크 17개, 야영장 2개소(중형 90동 설치 가능), 공동취사장, 주차장, 조수사육장 등의 시설물이 들어서 있다. 각 산막은 가스보일러로 난방이 조절되며, 싱크대, 취사시설, 화장실 겸 샤워장이 갖춰 있다. 입장료는 무료다. 산막은 20평형 60,000원, 9평형 40,000원, 주차료 3,000~5,000원.
    제암산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전화)061-852-4434.

    특산물 

    장흥 바지락·키조개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앞바다는 전국 최고의 청정해역으로 이름난 득량만으로, 조수간만의 차가 2m 안팎이어서 바지락과 키조개가 자라기 적합한 곳이다. 바로 이곳에서 나오는 바지락과 키조개는 살이 많고 쫄깃쫄깃하기로 이름나 있다.
    살을 빼내 파와 마늘을 넣고 여러 가지 양념에 버무려 나오는 바지락회는 장흥에서만 맛볼 수 있는 토산음식이다. 키조개 등의 해산물과 쇠고기와 함께 불판에 구워내는 '삼합구이' 요리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장흥읍내의 음식점이나 수문포해수욕장 일원의 음식점에서 맛볼 수 있다. 단, 여름철에는 비브리오균 감염에 대비해 데쳐 먹는 것이 안전하다.

    copyright 2000 ⓒ sanyaro.com all rights reserved.

    '호남명산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덕룡산  (0) 2004.09.20
    장흥천관산  (0) 2004.09.20
    해남달마산  (0) 2004.09.20
    김제모악산  (0) 2004.09.20
    고창선운산  (0) 200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