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lanet.daum.net/parasapark/ilog/2432855
회원님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것을 보니 깊은 가을을 재촉하고 있나 봅니다.
추석명절은 잘 들 보내 셨는지도 궁금하고 보고도 싶습니다.
대다수 회원님의 뜻에 따라 이번 산행은 전 엘지무등회원은 물론 가입하지 않으셨던 회원들에까지
문을 활짝 열고 기다리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좋은일 슬픈일도 함께하고 건강을 위하여 한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산행을 하고 있는데도 동참하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물론 부부동반을 하시는게 원칙이나 혼자 와도 대환영함은 물론 자녀와 함께 오셔도 대환영 합니다.
회비는 입장료와 교통비정도의 약간이면 되고 각자가 점심은 물론 필요한 것은 직접 싸 가지고 오셔야 합니다.
9월24일 오전 9시30분까지 광주국립박물관 주차장에서 기다리겠습니다.
가는곳은 고창 선운사가 있는 선운산입니다.
시간을 촉박하게 알려드리고 있는 점은 대단히 죄송 합니다. |
---parasapark@hanmail.net---
깔크막우게히컨집. -123-박진희
http://planet.daum.net/parasapark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우는 명승지로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선운산은 도솔산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선운이란 구름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의 뜻으로 선운산이나 도솔산이나 모두 불도를 닦는 산이라는 뜻이다. 곳곳에 기암괴석이 봉우리를 이루고 있어 경관이 빼어나고 숲이 울창한 가운데 천년 고 |
|
| 찰 선운사가 자리하고 있다. 본사는 선운사로 검단선사가 창건하고 대참사(참당사)는 진흥왕의 왕사인 의운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천오백년 전의 일이고 현재는 도솔암, 석상암, 동운암과 함께 참당암이 있지만 옛날에는 89암자가 골짜기마다 들어섰던 것으로 전한다. 문화재로는 금동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 선운사 대웅전, 참당암 대웅전, 도솔암 마애불 등이 보물이고 동백나무숲, 장사송, 송악 등이 천연기념물이며 석씨원류 경판, 영산전목조삼존불상, 육층석탑, 범종, 약사여래불상, 만세루, 백파율사비, 참당암 동종, 선운사 사적기 등이 지방문화재로 백파율사비는 추사가 짓고 쓰고한 추사 글씨 중에서도 대표작이다. 선운산의 경치를 살펴보면 큰절에서 개울을 따라 올라가면 물줄기가 갈라진 곳에 자연의 집이 있고, 우측으로 더 올라가면 여덟가지로 소담하게 벌어진 장사송과 진흥왕이 수도했다는 진흥굴이 있다. 개울 건너 산 중턱에 우뚝 선 바위가 이 산에 침입하는 마귀를 방어하는 신장역할을 하는 봉두암(일명 투구봉), 그 위 산등성이에 돌아 앉은 바위가 역시 도솔천에 들어오는 마귀를 방어하는 사자암이고, 여기서 조금만 올라 가면 도솔암, 우측으로 층층의 바위계단을 오르면 천길 절벽위에 도솔천 내원궁 즉 상도솔이 있다. 이곳에서 우측 암벽을 오르면 말발자국이 파여 있어 이를 진흥왕의 말발자국으로 전하며 바위틈을 비집고 올라서면 이곳이 만월대이며 신선이 학을 타고 내려와 놀고 갔다는 선학암이다. 다시 내려와 나한전에서 좌측을 보면 깍아지른 듯한 암벽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는 도솔암 마애불이고 더 올라가면 용문굴, 좌측으로 돌아 오르면 낙조대가 있다. 바로 옆이 천마봉, 도솔천의 비경이 발아래 전개된다. 또한 선운산에는 풍천장어. 작설차. 복분자술 등의 특산물이 있어 풍천장어구이에 복분자술 한잔으로 최고의 별미를 맛볼 수 있다.
등산코스
1코스 |
관리사무소→선운사→장사송·진흥굴→도솔암→마애불상→용문굴→낙조대 →천마봉(4.7km) |
2코스 |
관리사무소→일주문→석상암→마이재→수리봉→참당암→소리재→낙조대 →천마봉(6km) |
3코스 |
관리사무소→경수산→마이재→수리봉→견치상→소리재→낙조대→천마봉(7km) |
4코스 |
관리사무소→도솔재→투구바위→사자암→쥐바위→청룡산→배맨바위→낙조대(6.5km) | | |
|